: 일본어 종조사에 관하여
(도서) 섀도잉 일본어에서 발췌
종조사의 가장 중요한 기능은 성(性)의 구별이다.
의문 또는 확인, 희망, 동의의 뜻으로 사용되는 かしら는 여성 전용 종조사
강한 주장이나 상대에 대한 경멸, 멸시의 의미를 나타내는 ぜ는남성 전용 종조사
가벼운 단정 및 부드러운 주장, 영탄의 의미를 나타는
わ 감동, 영탄, 단언 ・ の 단언, 명령, 의문 ・ もの 반발, 단정, 주장 ・ こと 문, 주의, 단정
은 남성에 비해 여성이 많이 사용하는 ㅈㅇ조사
자기 자신에 대한 다짐이나 확인, 상대에 대한 일방적인 지시, 경고, 판단 등 강압하거나 주장하는 식의 강한 어감을 가지고 있는
ぞ 주장, 다짐 ・ な 금지, 명령, 희망, 감동 ・ か 의문, 반어, 영탄 ・ よ 주장, 명령 ・ い 의문, 반발, 경멸
은 여성에 비해 남성이 많이 사용하는 종조사
~かしら
1. 의문을 나타낸다. (~일지/인지 몰라, ~을까, ~일까) : 여성어
あの人、今ごろどうしているのかしら。
그 사람 지금쯤 어떻게 하고 있을까?
2. 부정의 조동사 ない나 ん(ぬ)의 뒤에 붙어 희망이나 부탁을 나타낸사. (~지 않으려나) : 여성어
席をゆずってくれないかしら。
자리를 양보해 주지 않으려나.
かな
1. 가벼운 영탄을 담아 의문을 나타낸다. (~가?)
そんなこともあったのかな。
그런 일도 있었던가?
2. 자기 자신에게 묻는 기분을 나타낸다. (~까?)
お茶でも飲もうかな。
차라도 마실까?
3. <・・ない~(あ)의 꼴로>소망을 나타낸다. (~려나)
早くこないかな(あ)。
빨리 오지 않으려나. 빨리 왔으면 좋으련만.
こと
1. 감동을 나타낸다.
あら、きれいなこと。
어머나, 곱기도 해라!
2. 완곡한 단정을 나타낸다.
とても面白かったことよ。
무척 재미있었어요.
3. 질문이나 동의, 권유의 뜻을 나타낸다.
あなたもいっしょにいらっしゃらないこと。↗
당신도 함께 가시지(오시지) 않겠어요?
さ
1. 자기의 판단이나 주장을 확인하면서 다짐하는 뜻을 나타낸다. (~이지, ~말이야, ~이야)
そんな事あたりまえさ。
그런 일은 당연하지.(보통이지)
2. 가볍게 단언하는 느낌을 나타낸다.
ま、いいさ。
뭐, 괜찮아.
3. 「とさ、てさ」의 꼴로, 인용을 나타낸다. (~란다. ~대)
昔々おじいさんとおばあさんがあったとさ。
옛날 옛적에 할아버지와 할머니가 살고 있었더란다.
やっぱりあの人も行ったんだってさ。
역시 그 사람도 갔었대
4. 의문을 나타내는 말에 붙여서 항의, 비난의 뜻을 나타냄. (~이야?)
なぜいやなのさ。
왜 싫다는 거야?
ぜ
남성이 동료나 손아랫사람에 대해 스스럼없이 말할 때 쓰는 종조사로, 가볍게 다짐학나 주의를 환기시킬 때 쓴다. : 남성어
1. 친한 사이에서 사용한다 (~이야, ~하세, ~거야, ~테야)
しっかりやろうぜ。
정신차려.
2. 협박하거나 상대방을 깔보는 기분을 나타낸다. (~야)
いくらがんばってもだめだぜ。
아무리 버텨 봐야 소용 없어.
っけ
1. 잊었던 일을 어떤 기회에 회상하며 그리워하는 뉘앙스를 준다. (~였지, ~하곤 했(었)지)
幼いころはあの遊び場でよくあそんだっけ。
어렸을 적에는 저 놀이터에서 잘 놀곤 했었지.
2. 잊었던 일이나 분명하지 않은 일을 묻거나 확인하는 뜻을 나타낸다. (~였지, ~던가)
彼の名前{あだ名}は何だっけ。
그의 이름(별명)은 무엇이었지?
とも
의문, 반대의 여지가 없음을 나타낸다 (~고 말고)
そうだとも。
그렇고 말고
知っていますとも。
알고 말고요.
な
1. 금지를 나타낸다. (~하지 말아라) : 대체로 남성어
芝生で入るな。
잔디에 들어가지 말아라.
2. 허물없는 사이의 상대에게 부드러운 명령, 권고. : 대체로 남성어
早くしな。
빨리 해!
3. 감동, 영탄을 나타낸다. 「なあ」형을 취할 때도 있는데, 그 경우는 감동의 정도가 더욱 강함. : 여성도 씀
ほんとうにきれいだな。
정말 예쁘구나.
4. 「ないかな」「といいな」등의 형태로 바램을 나타낸다. : 여성도 씀
早く来ないかな。
빨리 안오려나.
晴れるといい(が)な。
날씨가 맑으면 좋겠는데.
5. 가벼운 단정, 주장이나 다짐을 나타낸다. (~지, ~군)
いい天気だな。
좋은 날씨로군
ぼくほそうは思わないな。
나는 그렇게 생각지 않는데.
6. 「なさい」「ください」「ちょうだい」등의 뒤에 붙어 부드러운 명령을 나타낸다 : 여성어
これ、くださいな。
이거 주세요.
ひとつわたしにちょうだいな。
나한테 하나 줘요.
7. 「な」가 감탄사로 쓰일때는 상대방의 관심을 자기에게 돌리거나 지기의 말을 납득시킬 때 쓴다. 대체로 남성어 이지만 여성의 경우는 주로「ね」「ねえ」를 쓴다.
ね、あなたもそう思うだろう。
그렇지? 당신도 그렇게 생각하지?
もの
1. 「だって」「でも」등의 뒤에서 상대편의 비난에 대해, 응석이 섞인 투로 자기의 주장을 나타낼 때 쓴다. (~한 걸 뭐, ~한 걸요.) = もん
だって、まだ子供だもの。
하지만, 아직 어린애인 걸 뭐.
でも、すきなんだもの。
하지만, 좋은 걸요.
2. 「ものね」「ものな」의 형태로 이유를 나타낸다.
うまいはずだ。君も得意のわざだものな。
잘 하는 게 당연하지. 네가 자신 있어 하는 기술이잖아.
わ
1. 놀람, 영탄, 감동을 나타낸다.
居るわ、居るわ、黒山の人だ。
많이도 있네 있어. 사람이 새까맣게 모였구나.
ふるわ、ふるわ、一面の銀世界だ。
(눈이) 내리네 내려, 온통 은세계로군.
2. 가벼운 주장, 결의, 영탄을 나타낸다. (~요.) : 여성어
そんなの知らないわ。
그런 거 몰라요.
あら、いやだわ。
어머나, 싫어요.
3. 흔히, 「~よ」「~ね」의 꼴로, 여성다운 부드러운 말씨를 나타낸다. (~요.)
ほんとうに楽しかったわ(よ)。
정말 즐거웠어요.
댓글
이 글 공유하기
다른 글
-
: 시간에 관련된 일본어 표현 세가지 - たび、とたん、いらい
: 시간에 관련된 일본어 표현 세가지 - たび、とたん、いらい
2011.05.10 -
: 일본어 표현 '馬鹿にするな!' - 바보 취급 하지마!
: 일본어 표현 '馬鹿にするな!' - 바보 취급 하지마!
2010.11.19 -
: 일본어 회화체 발음
: 일본어 회화체 발음
2010.10.05 -
일본어: 많다, 넘치다, 충분하지 않다. 등등은 어떻게 표현할까?
일본어: 많다, 넘치다, 충분하지 않다. 등등은 어떻게 표현할까?
2010.06.29